경제학의 연구 대상
[경제학이란?]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경제문제를 해경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경제 행위를 선택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경제 주체 - 경제 행위의 예
- 소비자 : 노동 및 자본을 공급, 재화 및 서비스를 수요
- 생산자 : 노동 및 자본을 수요, 재화 및 서비스를 공급
- 정부 : 조세를 부과, 재화 및 서비스를 수요, 공급
경제주체들이 결정한 경제행위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사회 전체의 경제적 상황을 변화시킨다.
경제 순환 모형도

경제 순환 모형도 : 경제 주체들 간에 실물과 자금이 어떻게 순환하는지를 도식화한 것
- 가계, 기업 및 정부는 상품시장 (생산물 시장)과 생산요소 시장에서 상호작용하며 그. ㅕㄹ과 사회의 전체의 경제적 영향이 결정
- 상품시장의 종류
- 재화시장
- 서비스 시장
- 생산요소 시장
- 노동시장 --> 요소소득 중 임금과 연관
- 자본시장 --> 요소소득 중 이자와 연관
- 토지시장 --> 요소소득 중 지대와 연관
자원의 희소성과 경제행위
중요한 것은 경제주체들의 경제행위 결정과정에서 경제적 자원의 희소성의 문제가 언제나 발생한다는 것
- 경제적 자원 : 현금이나 물질적 자원뿐 아니라 시간, 기술, 아이디어 등 무형의 자산까지 포함
- 자원의 희소성 : 원하는 것보다 가용한 자원이 부족한 상태
- 소비자 : 예산과 시간의 희소성에 직면
- 생산자 : 가용한 생산요소, 기술 등의 희소성에 직면
- 정부 : 가용한 정부예산 규모의 희소성에 직면
따라서 경제학의 자원의 희소성이라는 제약 하에서 경제주체들이 어떻게 최적의 선택을 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경제학의 분류
1. 분석의 단위 : 미시 경제 vs. 거시 경제
◈ 미시 경제 (micro economics) : 각 경제주체들의 개별적인 경제행위와 그들의 상호작용 분석
- e.g., 개별 소비자들과 기업들은 각각 시장에서 어떻게 행동하며 어떤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미쳐 시장에서의 가격과 거래량이 결정되는가?
- 주요 관심변수 : 시장에서의 소비자, 기업 및 정부의 행위 등 개별 경제주체 단위로 정의되는 변수
◈ 거시 경제 (macro economics) : 국가경제 전반의 움직임을 분석
- e.g., 개별 경제주체들의 행동을 모두 합산한 국가경제 전체의 총량변수는 어떻게 움직이며 이 변수들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 주요 관심변수 : 국내총생산, 물가, 실업, 수출입 등 국가경제 전체 단위로 정의되는 변수
2. 분석의 내용 : 실증적 분석 vs. 규범적 분석
◈ 실증적 분석 (positive analysis) : 경제현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한 분석
- 어떤 경제현상의 정의는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발생하는지를 구명하고자 하는 과학적 분석
- 경제학 이론의 대부분을 차지
◈ 규범적 분석 (normative analysis) : 어떻게 하는 것이 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가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
- 어떤 경제적 상황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가에 대한 가치판단을 동반한 분석
- ex) 복지지출을 늘리기 위해 기업에 부과하는 법인세를 인상해야 하는가 아니면 기업의 투자활동을 늘리기 위해 법인세를 인하해야 하는가?
3. 분석의 내용 : 이론경제학 vs. 응용경제학
◈ 응용 경제학 (empirical economics) : 이론경제학에서 도출된 명제들을 가설 (통계적 검정)로 설정하고 실제 데이터가 이 가설을 지지하는지 확인
- ex) 법인세가 인하되면 실제로 기업들이 투자활동을 증가시키는가? 최적임금제가 도입되면 기업의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실제로 일자리가 줄어드는가?
◈ 이론경제학과 응용경제학은 보완적, 순환적 관계
- 응용경제학에서의 가설 검정은 이론경제학에서 제시된 명제들이 현실 설명력을 갖추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
- 가설 검정 통과 : 그 이론경제모형은 바람직함
- 가설 검정 기각 : 이론경제모형은 수정이 필요하거나 새로운 모형 개발이 필요함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시장의 수요와 공급 (0) | 2025.03.29 |
---|---|
[경제] 생산가능곡선 (3) | 2025.03.18 |
[경제] 경제학적 사고의 출발점 (2)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