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이란?
시장 : 다수의 소비자들과 생산자들이 만나 서로 합의한 가격에서 재화나 서비스르 거래하는 장소로, 전통시장, 대형마트 등 물리적 시장과 온라인 거래 등 무형의 시장도 포함
개별 소비자들과 생산자들은 이미 자신의 선택을 최적화한 상태에서 시장에 참여함을 가정한다.
시장수요
시장수요란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구매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재화나 서비스의 총량을 의미한다. 이때, '재화의 가격'이 시장수요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장수요곡선
시장수요곡선 : 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그에 대응하는 시장수요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 수요의 법칙 : 다른 모든 것이 일정할 때, 가격과 시장수요량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따라서 시장 수요 곡선은 우하향
- 주어진 시장수요곡선 하에서 가격의 변화는 시장수요곡선 상의 움직임을 유발하여 이 때 가격의 변화는 시장수요량을 변화시킨다고 함
- 예를 들어, 자동차 가격의 하락은 자동차의 시장수요량을 증가시키며 이는 시장수요곡선 상의 움직임으로 나타남

◈ 시장수요곡선의 이동
재화의 가격 이외의 요인들이 변화할 경우 시장수요곡선은 이동한다.
- 관련된 재화의 가격,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기호나 유행, 미래가격 등이 변화할 경우 모든 가격수준에서 그 재화의 시장수요 변화
- 자동차 시장의 예에서 휘발유의 가격이 하락하면 자동차에 대한 시장수요가 증가하면서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시장공급
시징공급은 생산자들이 시장에 판매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재화나 서비스의 총량, 시장수요와 마찬가지로 재화의 가격이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시장공급곡선
시장공급곡선 : 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그에 대응하는 시장공급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 공급의 법칙 : 다른 모든 것이 일정할 때, 가격과 시장공급량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다라서 시장공급곡선은 우상향
- 주어진 시장공급곡선 하에서 가격의 변화는 시장공급곡선 상의 움직임을 유발하며 이때 가격 변화는 시장공급랴을 변화
- 예를 들어, 자동차 가격의 상승은 시장공급량을 증가시키며 이는 시장공급곡선 상의 움직임으로 나타남

시장균형
만약 시장수요량이 시장공급량을 초과하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높은 가격에라도 구매의사를 표하는 소비자들이 생길 것이고, 이는 소비자들 간의 가격경쟁으로 이어져, 재화의 가격 상승 압력을 가져올 것이다. 반대로 시장공급량이 시장수요량을 초과한다면 낮은 가격에라도 판매의사를 표하는 공급자들이 생길 것이고, 이는 공급자들 간의 가격 경쟁으로 이어져, 재화의 가격 하락 압력을 가져올 것이다.
이렇게 가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조정과정이라 하며, 결국 시장수요량과 시장공급량이 일치한 상태가 오는데, 이 상태를 시장군형이라고 한다. 시장균형 상태에서의 재화의 가격을 시장균형 가격, 재화의 거래량을 시장균형 거래량이라고 한다.

◈ 시장균형 변동 발생 요인
- 수요증가 또는 공급감소 -> 초과 수요 발생 -> 가격상승 -> 수요량 감소 & 공급량 증가 -> 새로운 균형 달성
- 수요감소 도는 공급증가 -> 초과 공급 발생 -> 가격하락 -> 수요량 증가 & 공급량 감소 -> 새로운 균형 달성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생산가능곡선 (3) | 2025.03.18 |
---|---|
[경제] 경제학적 사고의 출발점 (2) | 2025.03.18 |
[경제] 경제학의 대상과 분류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