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곡선 모형
생산가능곡선 모형이란? :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제학에서 가장 간단한 모형 중 하나
[생산가능곡선의 주요 가정]
- 하나의 생산주체가 존재하며 이 생산주체는 유한한 생산요소 (노동, 자본, 토지)와 일정한 수준의 기술을 보유
- 이 생산주체는 오직 두 가지 상품만을 생산
[생산가능곡선의 도출]
◈ 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possibility frontier) : 한 생산주체 (기업, 산업, 국가경제 전체 등) 가 주어진 기술을 이용하여 가용한 모든 생산요소들을 남김없이 투입하였을 때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상품의 조합
ex) 만일 피자 1판의 생산을 포기할 때마다 음료수 2병을 생산할 수 있다면?

생산가능곡선의 경제학적 의미
1. 영역 (효율성, 희소성)
생산 가능 집합 : 생산곡선을 포함하여 생산가능곡선 아래쪽 영역
생산 불가능 집합 : 생산가능곡선 위쪽의 영역
- 생산가능곡선 상의 점들은 주어진 기술과 가용한 생산요소들을 모두 사용하여 최대한의 생산을 하였다는 의미에서 생산의 효율성 만족
- 생산가능곡선 아래 영역의 점들은 생산이 가능한 영역이지만 주어진 기술과 가용한 자원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생산의 비효율성을 만족하지 않음
- 생산 불가능집합이 존재하는 이유는 자원과 기술의 희소성 때문
2. 기울기 (상충관계, 기회비용)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의 부호 : 상충관계의 개념과 일치
- 생산가능곡선 기울기의 부호는 언제나 음의 값
- 어느 한 쪽의 생산을 늘리면 다른 한 쪽의 생산을 줄여야 하는 점에 있어서 상충관계를 의미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기회비용의 개념과 일치
- ex) 피자 생산 한 단위 포기 당 음료수의 생산 가능량 = 2병
- 기울기의 절대값은 'Y자원의 단위로 표시한 X자원의 단위 생산의 기회비용'을 의미
생산가능곡선의 일반적인 경우

- 직선의 생산가능곡선의 경우 기울기는 어느 점에서든 동일하며 애 가로축 재화 생산의 기회비용을 뜻한다.
- 생산가능곡선이 곡선일 경우에 한 점에서의 기울기는 그 점에서 곡선에 접한 접선의 기울기로 측정
- 이 직선의 기울기는 자동차 생산 (X 자원 생산량)을 미세하게 줄일 때 한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쌀의 양 (Y 자원 생산량)
- 생산가능곡선 상에서 측정되는 이러한 기회비용을 한계변환율 (MRT : marginal rate of transformation)
- 생산가능곡선이 오목한 경우 이렇게 측정한 MRT가 자동차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함을 의미한다.
생산가능곡선의 이동
◈ 경제성장 : 생산주입요소의 양이 증가하거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한 경제의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이 증가하는 현상
1. 대칭적 확장 : 모든 산업에서 필요한 생산투입요소의 양이 증가하거나 모든 산업에서 동일한 정도의 기술발전이 일어나는 경우

2. 비대칭적 확장 : 특정 재화요소만 증가하거나 특정 생산기술만 발전하는 경우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시장의 수요와 공급 (0) | 2025.03.29 |
---|---|
[경제] 경제학적 사고의 출발점 (2) | 2025.03.18 |
[경제] 경제학의 대상과 분류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