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학

[금융] 재무제표와 재무지표 분석

테드리 2024. 7. 27. 21:36

회계 (Accounting) 란?

정보이용자가 합리적인 판단이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정보를 식별하고 측정하여 전달하는 과정

  재무 회계 관리 회계 세무 회계
목적 외부 보고 내부 보고 세무 보고
정보이용자 투자자, 채권자, 정보이용자 경영자, 관리자 등 내부이용자 국가, 지방자치단체
작성원칙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다양함 세법
보고형태 재무제표 다양함 세무조정계산서

 

재무제표란?

기업실체에 관한 재무적 정보를 외부 정보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재무보고 (Financial Report)

  • 일정시점의 상태에 관한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 일정기간의 변동에 관한 재무제표 :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경표

 

1. 재무상태표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 :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 유동자산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재고자산, 매출채권
  • 비유동자산 :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자산

 

부채 :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유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 유동부채 :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 비유동부채 : 장기차입금

 

자본  = 자기자본

  • 자산 - 부채 = 잔여지분
  • 자본금, 이익잉여금

 

2. 손익계산서

1) 매출원가 vs. 판매비와 관리비

  • 매출원가: 제품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들어간 비용
  • 판관비 : 기업의 영업활동 영위, 기업유지를 위한 비용, 제품 생산과 직접적이지는 않음

 

2) 영업이익 vs.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기업의 영역 그 자체에서 창출하는 이익
  •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과 일회성 손익의 합계 (영업이익 + 영업외 손익 -  법인세) -> 이익잉여금 (자본)에 가산됨 

 

3)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 유형자산(무형자산)의 경우, 해당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추정되는 잔존가치를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 비용(감가상각비)로 인식하여야 함

 

4) EBITDA (Earning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mortization)

  • 기업이 영업활동을 벌어들인 현금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3. 현금흐름표

1)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 현금주의 : 현금의 유출입을 기준으로 손익 등 인식
  • 발생주의 : 회계의 기본원칙으로 손익을 발생하는 기간의 손익으로 인식

 

2)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기업의 실질적인 현금흐름창출능력을 보여주므로 -> 영업손익과 비교 필요

 

자금의 순환과정

 

  • 기업은 채권자와 주주로부터 자금 조달
  • 기업은 영업을 통해 창출한 영업현금흐름을 이자와 원금으로 채권자에게 지급
  • 잔여현금은 주주에게 배당 또는 유보를 통해 영업확대

 

연결재무제표 vs 별도재무제표 vs  개별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 별도재무제표 개별재무제표
정의 종속회사가 있는 지배회사가 종속회사를 포함한 단일의 경제적 실체로 하여 작성된 재무제표 -> 주재무제표 종속회사가 있는 지배회사가 단일의 경제적실체로 하여 작성된 재무제표 종속회사가 없는 경우의 회사가 작성하는 재무제표

 

 

재무비율 분석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실적의 분석을 위해 재무제표 항목의 비율을 산출하여 분석

→ 산업간 특성이 다르므로, 유사기업 또는 대상기업과의 과거 실적과의 적절한 비교를 통하여 산출하여야 함

 

1. 유동성 비율 :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1) 유동 비율 = 유동 자산 / 유동 부채

-> 높을수록 높은 유동성이 풍부

 

2) 당좌 비율 = 당좌 비율 / 유동 부채

당좌 자산 = 유고 자산 - 재고 자산

-> 유동자산 중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는 재고자산을 제외하고 유동성 측정

 

2. 안정성 비율 : 기업의 장기지급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1) 부채 비율 = 부채 / 자본

-> 낮을수록 안정성이 높음

 

2) 이자보상비율

-> 높을수록 안정성이 높음

 

3) 고정장기적합률 = 비유동자산 / 자기자본 + 비유동부채

-> 낮을수록 안정성이 높음

 

3. 수익성 비율 :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지표

1) 매출 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

-> 매출 총이익 = 매출 - 원가

 

2)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관리비

 

3) 당기순이익률 = 순이익 / 매출

 

4) 총자산순이익률 (Return on Investment) = 순이익 / 총자산

 

5) 자기자본순이익률 (Return on Equity) = 순이익 / 자기자본

 

4. 활동성 비율 : 기업의 자산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는지 나타내는 지표

1)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 매출채권

    - 매출채권 평균회수기간 = 365 / 매출채권전율

 

2)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 / 재고자산

    - 재고자산 평균회전기간 = 365 / 재고자산회전율

 

3)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 / 총자산

 

5. 성장성 비율 : 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

1) 매출액증가율 = 당기매출액 / 장기매출액 - 1

 

2) 영업이익증가율 = 당기영업이익 / 장기영업이익 - 1

 

3) 순이익증가율 = 당기순이익 / 장기순이익 - 1

 

4) 총자산증가율 = 당기총자산 / 장기총자산 - 1

 

5. 시장성 비율 : 기업의 시장가치와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1)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 주당순이익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2) PBR(Price Book Value Ratio) = 주가 / 주당순자산 = 시가총액 / 순자산

 

3) PSR(Price Sales Ratio) = 주가 / 주당매출액 = 시가총액 /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