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학

[금융] 신용 등급과 크레딧

테드리 2024. 11. 5. 06:09

채권투자의 리스크

리스크 종류 내용
이자율 변동 리스크 - 이자율 변동에 따른 채권가격 변동 리스크
- 이자율 변동에 따른 재투자수익 변동 리스크
 유동성 리스크 - 투자 채권을 조기 현금화하지 못할 리스크
- 일반적으로 국고채보다 회사채
크레딧 리스크 - 최초 투자 시 약정한 이자 또는 원금을 지급받지 못할 리스크
-일반적으로 국괘보다 회사채, 단기채보다 장기채에서 더 높음

 

만기수익률과 프리미엄

 

만기수익률(YTM) :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 시 약정되는 수익률 

( = 무위험 이자율 + 유동성 프리미엄 + 채무불이행 위험프리미엄)

 

만기수익률은 최초 투자시 기대한 원금 및 이자의 수취에 대한 채무불이행이 없을 것으로 가정하여 산출된 수익률

따라서 정부가 원금 및 이자를 지급하는 국고채를 제외하고는 채무불이행에 대한 위험이 있을 수 있음

이러한 위험을 반영하여 실제로 기대되는 수익을 기대수익률이라고 함

 

▶ 크레딧채권의 발행금리 = 동일만기 국채금리 + 신용도에 따른 가산금리 (신용 스프레드)

 

신용위험 (Credit Risk)

무위험자산인 국채 투자에 대비하여 크레딧 채권에 투자함에 따라 투자자가 추가적으로 부담할 모든 위험

1) 부도위험 (Default Risk)

: 채무자가 채권의 원리금을 적시에 지급하지 못할 위험

  •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부도위험 낮음 -> 가산금리 감소
  • 신용등급이 낮을수로 부도위험 높음 -> 가산금리 증가

2) 신용등급 하락위험 (Downgrade Risk)

: 신용평가사로부터 부여받는 신용등급이 하락될 위험 

  •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부도위험 증가 -> 가산금리 증가 -> 현재 보유중인 채권 가격 감소

3) 유동성 위험 (Liquidity Risk)

: 보유중인 채권을 중도 매각할 경우 현금화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가치에 처분하지 못할 위험

  • 국채대비 거래량 감소 -> 매수/매도 스프레드 상승
  • 만기가 긴 회사채일수록 유동성위험 증가

4) 가산금리확대위험 (Credit Spread Risk)

: 다른 조건이 일정한 경우에도 동일한 위험에 부여받는 가산금리가 확대되는 위험

  • 경기둔화 등 비우호적 거시경제환경 -> 가산금리 확대

 

신용등급 (Credit Rating)

 

:채권발행자와 투자자의 정보 비대칭성 해소를 위해 제3의 전문기관인 신용평가사가 신용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한 것

 

<비대칭 정보> 

발행자 (기업, 기업내부자) :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고자 하는 유인

투자자 (외부자) : 신용수준에 맞는 적정한 리스크프리미엄 요구

 

신용등급 정의

등급 내에서 +,0,-로 세ㅣㄹ 확실성 정도를 체계적으로 분석분화, 등급전망 (Outlook)과 함께 공시

출처 : https://www.yesdata.co.kr/57/?bmode=view&idx=13663280

 

신용평가

신용평가사가 원리금이 당초 조건대로 적시에 상환될 확실성 정도를 체계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등급화하는 과정

▶ 단순한 재무제표 분석이 아닌 경기사이클분석, 경영환경부넉 등 질적인 평가를 포함한 복합적인 분석 필요

 

신용 스프레드

회차채 금리 = 국고채 금리 + 신용스프레드

출처: 한국기업평가